교과목소개

미디어

교과목소개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01 한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韩国语概论)

언어와 한국어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이해하고 한국어 음성학, 한국어 음운론 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 및 용어, 체 계 등을 다룸으로써, 한국어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어 이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02 한국어교육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韩国语教育概论)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한 국어 교육의 기본 원리와 방법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탐색함 으로써 한국어 교육학의 전모에 대해 이해한다.
03 한국어이해교육론 (Educational Theory on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韩国语理解教育理论) 한국어 듣기와 읽기 능력에 관한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 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04 한국어표현교육론 (Educational

Theory on Korean Expression, 韩国表达教育理论)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에 관한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이 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 표현 특면의 의사소 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연구한다.
05 한국어교육과정및교재론(Curricul um an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韩国语课程与教科书理论)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교육과정 설계에 필요한 이론과 배경지식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목적, 교육 상황, 학습자 변인 등을 고려한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방향 과 실제 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06 한국어문법론(Korean Grammar, 韩语语法) 한국어의 문법적 특징을 심화하여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특히 문법의 개념을 알고 한국어 문장의 구성요소를 분석 하는 과정을 통해서 한국어 문장의 구성 원리를 이해한다. 또 한 한국어의 여러 언어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에 사용 된 문법 모델을 알아보며 학습한 언어 규칙으로 현재 우리말 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법 현상을 이해한다.
07 한국어의미론(Korean Semantics, 韩语语义) 한국어 의미에 대한 여러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한국어의 단 어와 문장의 의미 체계, 의미 관계 등을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08 한국어문법교육론 (Korean Grammar

Education, 韩国语语法教育理论)

한국어 문법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문법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제 수업 모형을 만들어 본다.
09 언어학개론(Introduction to Linguistics, 语言学导论) 자연적 인간 언어(자연언어)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인간언어의 원리적 특징을 이해한다. 인간의 언어는 특정 한 체계(system)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인간 언어의 체 계, 즉 말소리 형성의 체계, 단어 형성의 체계, 문장형성의 체 계, 의미 형성의 체계 등을 원리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10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 对比语言学) 친족 관계에 있지 않은 둘 이상의 언어에 대해 그 차이점을 비교하는 방식의 언어 연구 및 교육에 있어서 그 원리와 방법 을 이해하고, 구체적으로 언어 차이의 분석과 의미화를 통한 대상 언어의 습득 전략 등을 논한다.
11 외국어습득론(Foreign Language

Acquisition, 外语习得理论)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제2언어 학습자는 정확하게 무 엇을 알게 되는가, 그 학습자는 그와 같은 지식을 어떻게 습득 하는가, 그리고 성공적인 학습자의 성취 동인은 무엇인가에 대 해 이해하고 한국어교육에의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12 언어교수이론(Language Teaching

Theory, 语言教学理论)

국내외 다양한 언어교수 이론을 낱낱이 살펴 그 특징을 이해 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 인 교수 방법을 모색해본다.
13 한국어능력평가론(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韩国语能力评价理论) 외국어 능력 평가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을 모색한다.
14 한국문화교육론(Korean Culture

Education, 韩国语文化教育理论)

성공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전략 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의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한다.
15 한국의현대문화(Korean Grammar, 韩国现代文化) 한국 현대문화의 특징들과 그 구체적인 사례들을 이해함으로 써 현대 한국어의 화용적 활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 어교육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6 한국문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韩国文学概论)

한국문학사의 흐름을 따라 대표 장르의 발전과 과정을 이해함 으로써 한국인 정서의 역사적 변화와 흐름을 이해하고, 그것이 응축된 한국어 및 한국문화의 기반을 이해한다. 또 그러한 이 해를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7 한국어교육실습(Korean Education

Field Practice, 韩国语教育实践)

한국어 교수법 및 한국어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한국어수업을 실제로 진행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사로 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18 한국어발음교육론(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ory, 韩国语发音教育理论)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음절 형성 방식 등은 다른 언어와 구별

되며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발음과 관련된 원

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보다 심

도 깊은 이해를 높인다.

19 한국어듣기읽기교수법(Korean Listening and Reading Teaching Methodology, 韩语听说读写教学法) 외국어 학습에서 문자 해독 및 음성언어 청취를 통한 타인의 의사 수용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외국어에서 수용 및 이 해는 표현을 위한 선결 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능 향 상을 목표로 교수법을 모색하고 자질을 함양한다.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20 한국대중문화(Korean Pop-Culture, 韩国流行文化) 한국 대중문화의 전개과정을 이해하고 대중문화의 개별 현상 을 파악한다. 대중가요, 드라마, 영화, 웹툰 등을 분석하면서 한국 현대문화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한다.
21 교안작성과 교보재 제작 Ⅰ·Ⅱ(Studies of Teaching Plan and Materials, 教学计划撰写) 수업 운영을 위한 교안 작성 및 학습교재 개발, 활용 등 실제 적인 방법을 배우고 이를 활용해 실제 현장에서 학습자와 자 신에 맞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수업 운영을 구상해 볼 수 있다.
22 언어와 컴퓨터Ⅰ·Ⅱ (Language and

Computer, 语言和计算机)

언어가 정보검색, 기계번역 등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알아보 고 여러 응용 소프트웨어들을 익히고 적용하여 언어가 컴퓨터 와 만나는 지점을 의미 있게 이해하고 그 활용법을 함양한다.
23 한국문화유산탐방 (Experience on Heritage of Korean Culture, 韩国文化遗产之旅)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아보고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박물관 및 문화현장을 직접 답사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24 다문화사회교육론(Multi-cultural society education theory, 多元文化社会教育理论) 다문화사회에 대한 개념과 논의배경을 학습하고,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적을 이해하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주요 교수학습법 을 습득하고 해외 각국의 다문화교육 사례를 학습하며, 해외

및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교육 모형과 세부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모형을 설계해 본다.

25 이민다문화가족 복지론 (Immigrant and multicultural

family welfare theory, 移民与多元文化家庭福利理论)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이민자의 가정, 직장, 학교, 일상생활 실 태와 복지수요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이민자 대상 복지정책과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26 해외동포사회 이해

(Study on Korean Diaspora, 移民与多元文化家庭福利理论)

재미동포, 재일동포, 중국조선족, 고려인 등 해외동포의 이주 역사와 생활실태를 이해하고 해외동포의 가치와 규범, 관습, 기호 등 문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27 이민정책론(Immigration policy theory, 移民政策理论) 국제이주와 공공정책의 다양한 이론과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소수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정책을 분석한다. 국제이주 와 이민과 관련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고, 한국의

이민정책과 외국의 이민정책을 비교하고 배경을 살펴본다.

28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Multi-cultural society teaching methodology, 多元文化社会教学方法 )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와 상호문화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 다. 해외 및 우리나라 이민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국민 대상 다문화 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다문화사회 교수 방법론을 체득한다.
29 이주노동자 상담과 실제 (Counseling for Migrant Workers, 农民工咨询与实践 ) 우리나라 이주노동자 현황 및 특성, 지원정책을 학습한다. 주 요 상담이론별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기법을 실제 상담사 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상담이론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30 국제이주와 노동정책

(International Migration and Labor

Policy, 国际移民和劳工政策)

외국인력 이동과 이에 대한 정부의 도입과 관리를 위한 정책 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전반적인 국제이 주 현상과 한국 사례를 분석한다.
31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国际移徙和社会融合)

국제이주로 인한 다문화사회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분 석을 통해 이민자의 사회통합 관련 이론과 실제를 이해한다.
32 아시아 사회의 이해

(Introduction to Asian Society, 了解亚洲社会)

국내 체류 중인 이민자 중 다수를 차지하는 아시아 지역 국가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의 정치, 경 제, 사회, 문화적 현상과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또한 아

시아 지역 출신 이민자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이 한국사회 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한다.

33 이중언어교육론(Bilingual Education

Theory, 双语教育理论)

이중언어의 개념과 다양한 양상, 학습 이론을 이해하고 균형적 접근법을 통한 이중언어 교육 방법을 학습하고 한국 이중언어 교육의 발전방향 및 그 구현방안을 탐색한다.
34 사회복지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社会福利概论)

사회복지란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 가정책과 사회제도를 개선하고, 인간관계를 조정하는 전문적 기술을 말한다. 이 정책과 기술을 개괄적 수준에서 학습한다.
35 인간행동과사회환경(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人类行为与社会环境) 사회복지는 인간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 전반 과 사회적 환경을 구체적으로 연구함으로서 문제에 처한 클라 이언트를 보다 정확하게이해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도록 전체 적인 인간에 대한 이론적 준거틀을 마련해 준다.
36 사회복지법제와 실천(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Practice Theory, 社会福利立法与实践理论)Social welfare 사회복지법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 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 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 의 생성과정과 범위 및구조를 파악한 후, 우리나라 사회복지법 의 분야별 법 내용들을 학습하여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어지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37 사회복지실천론(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社会福利实践理论)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 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 통합적 시각,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및 과정론, 사회복지 실천 대상별 실천모델, 사례관리 등을 검토한다.
38 사회복지조사론(Social Welfare

Research, 社会福利研究理论)

사회복지 분야의 기초조사, 문제파악, 조사계획, 자료수집, 자 료 등 분석 과정을 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효과적인 사회 사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자료화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39 건강가정론(Healthy Family Theory, 健康家庭理论) 건강가정론은 건강가정사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건강가정 사를 양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교과목으로, 다양한 가족을 고찰 하고 건강가정에 대한 인식 정립과 현재 실시되고있는 건강가 정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또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의 지역 내 역할과 사업들을 고찰하고, 건강가정사로서의 역할 과 역량 및 실천기술을 제고할 수 있는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40 가족복지론(Family Welfare Theory, 家庭福利理论) 오늘날 가족구조의 변화와 함께 가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 고 있는 현시점에서 가족의 구조와 기능 등을 이론적으로 고 찰하고 한국인의 가족복지의 욕구와 가족문제들을살펴봄으로 써 실천적인 접근방법과 정책적인 제도들을 연구, 탐색한다.
41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社会福利实践技术理论)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 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 통합적 시각,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및 과정론, 사회복지 실천 대상별 실천 모델, 사례관리 등을 검토한다.
42 사례관리론(Care Management

Theory, 案例管理理论)

복지서비스 대상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실천 전략으로 대상 영역은 재가복지, 정신보건, 직업재활, 다문화 가족, 노인, 아동, 청소년, 여성, 가족의 복지서비스 등 다양하 다. 각 영역에서 발굴 또는 의뢰된 대상에게 초기 면접을 통해 복합적인 욕구와 필요자원을 면밀히 파악, 이를 기반으로 포괄 적인 서비스를 계획, 실행 및 점검, 평가, 종결, 사후관리 등 의 과정을 통해 사례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훈련한다.
43 사회복지시설운영론(Social Welfare Facility Operation Theory, 社会福利设施运营理论)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이해와 실제 설립과정 을 학습하되 분야별 사회복지시설의 설립기준을 살펴보고, 실 제 운영에서의 기술과 방법을 학습한다.
44 청소년복지론(Youth Welfare, 青少年福利论) 청소년 시기의 발달과 사회문화적 특성 등에 대한 이론과 지 식들을 학습하여 청소년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와 실천기술 을 습득한다.
45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heory, 社会福利管理理论) 사회복지 기관의 행정적 체계의 준거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 지행정의 개념, 역사적 배경, 복지기관의 행정조직, 인사, 재정 등을 검토 분석하고 서비스 전달체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46 가족정책론(Family Welfare

Policy Theory,家庭政策理论 )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이해, 가족정책에 대한 개념 정립에서부 터 가족정책 서비스의 대상별로 현재의 실태와 문제점, 관련법 과 정책서비스,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함으로서 가족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47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Theory, 社会福利政策理论)

사회복지 정책이란 거시적 형태의 사회복지로서 국가적 차원 의 사회복지를 의미한다. 일차적으로 사회복지의 생성과 변화 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거시적인 차원에 서 사회 복지의 전반적인 정책을 구성하고 연구하는 과정이다.
48 장애인복지론(Welfare for the

Disabled, 残疾人福利)

장애다발 요인이 상존하는 현대사회에서 장차 사회복지를 전 담할 학생들에게 본 강의를 통하여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올 바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장애인이 보호나 시혜의 대상이 아니라 한 사람의 책임있는 시민으로서 자립적인 생활을 영위함은 물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 인적,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재활여건 조성에 힘쓸 수 있 는 자세확립을 목표로 한다.
49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社区福利)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지역 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 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킨다.
50 청소년복지론

(Youth Welfare,青少年福利)

청소년 시기의 발달과 사회문화적 특성 등에 대한 이론과 지 식들을 학습하여 청소년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와 실천기술을 습득한다.
51 정신건강론(Mental Health Theory, 心理健康理论) 정신 및 정신건강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정신건강에 대한 사 회복지적 개입, 그리고 정신 보건 체계에 있어 사회사업가의 역할을 숙지한다.
52 프로그램개발과평가(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计划开发和评估)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사회복지프로그램의 태동과 이슈, 변화, 성격 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문제분석, 욕구사정, 목적 및 목표 설정, 예산 수립 등의
53 사회복지현장실습(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社会福利实地培训)

사회사업 이론과 방법론을 현장화, 실제화 시키기 위하여 사회 복지 실무에 적용시키는 과정으로서 학생들이 실제로 사회복 지 현장에서 그 동안의 학습을 직접 체험함으로서